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 집값 하락 시그널

by 운명디코드 2025. 4. 23.

 

금리·선거·대출규제 변수로 시장 관망세 이어질 듯

 

정부가 지정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효과가 현실화되며 서울 부동산 시장이 급속도로 식어가고 있다. 최근 주택 가격 상승세가 크게 누그러지고 거래 건수도 급감하는 등 시장 전반에 냉각 기운이 감지된다.

부동산 정보업체들에 따르면 허가구역 재지정 조치 이후 서울 주요 지역 집값 상승률이 대폭 축소됐다. 강남구의 경우 4월 둘째 주 0.16% 올랐는데, 이는 한 달 전 0.83%에 비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수치다.

인기 지역으로 꼽히던 다른 구역들도 비슷한 추세를 보인다. 서초구는 0.69%에서 0.16%로, 송파구는 0.79%에서 0.08%로 상승폭이 크게 줄었다. 용산구 역시 0.34%에서 0.14%로 하락했다.

놀라운 점은 규제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인근 지역마저 가격 상승이 둔화됐다는 사실이다. 마포(0.29%→0.13%), 성동(0.37%→0.23%), 강동(0.28%→0.09%) 등 주변 구역도 예외가 아니었다.

시장 침체는 거래량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강남 3구와 용산구는 허가구역 재지정 이전 한 달간 약 1,800건의 거래가 있었으나, 재지정 이후에는 불과 31건만 성사됐다.

 

 

강남·서초·송파 등 주요지역 가격 오름세 둔화

 

특히 송파구 잠실동 핵심 단지들은 거래 절벽 현상이 심각하다. 지난 2월 중순부터 3월 하순까지 약 165건의 활발한 거래를 보이던 주요 아파트들이 허가구역 지정 후 단 한 건의 매매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금리·선거·대출규제 변수로 시장 관망세 이어질 듯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냉각기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본다. 한 부동산 분석가는 "5월 예정된 금리 결정, 6월 조기 대선, 7월 시행될 대출 규제 강화 등이 시장의 중요 변수"라며 "이런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투자자들은 관망 자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권 부동산 전문가도 "대선 이전까지는 현재의 시장 분위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향후 금리 방향과 대출 규제 정책에 따라 하반기 시장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에서는 정부 규제와 대외 변수들이 맞물리며 서울 부동산 시장이 당분간 조정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